NAS (Synology)

시놀로지 NAS에 외부에서 접속하기 - 2부

Team-MB 2022. 9. 21. 10:12
반응형

일단.. http로는 접속이 된다..

 

 

아마 될꺼임... 아마도...

 

안되면,, 알려주셈...

 

 

지금은 예전에  이거 설정한거 간신히 기억하고 있음..

 

 

 

자... 1부에서,,,

 

 

공유기 포트 80, 443을 열어준 것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거억 못하면,, 아래 참조.

https://tttae.tistory.com/20?category=1116134 

 

시놀로지 NAS에 외부에서 접속하기 - 1부

드디어 홈페이지 구축을 끝냈다.. 다된거 같았다... 근데 뭔 놈의 홈페이지가 집에서만 접속이 된다. 물론 NAS도 집에서만 접속이 된다... ㅎㅎㅎㅎ NAS가 뭐의 약자인가?? Network 어쩌고 저쩌고 인데

tttae.tistory.com

 

참조만 하고 있으셈...

 

 

 

다시 DSM으로 가자~!!!

 

 

*이젠 모두가 전문가다... 너무 쉬워서 무시하는 느낌이 안나도록 앞으로는 일부 스킵합니다..!!

 

 

제어판-로그인 포털로 가자!

 

가면 중간쯤에 웹서비스가 있지요?

 

이게 DSM 포트인 것이다...

 

아... 이제는 쫌... 전문가 스럽다...ㅎㅎㅎ

 

 

기본 DSM 포트는  5000(http), 5001(https)이다.

 

 

근데 이 세상 모든 시놀로지 사용자들이 동일한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 말은?   

 

되게  똑똑한 사람이 해킹(뭐 가져갈건 없지만...)할 수 있는 취약한 뭐... 그런거라는 거다.

 

 

변경하는게 좋지 않을까? 나의 사진은 소중하니깐?

 

여기 2칸에 각각 원하는 숫자를 넣고(1~25444? 아무튼 범위가 있다. 중복될 수 없다.)

 

아래 저장을 누르자..

 

예를 들어 1000(http), 1001(https)라고 했다고 치자....

 

그리고 보안을 위해 

체크하자~!!!

 

 

 

그리고 다시 공유기 관리 페이지로 가서 1000, 1001 포트포워딩 하면 된다.

 

이거도

https://tttae.tistory.com/20?category=1116134 

 

시놀로지 NAS에 외부에서 접속하기 - 1부

드디어 홈페이지 구축을 끝냈다.. 다된거 같았다... 근데 뭔 놈의 홈페이지가 집에서만 접속이 된다. 물론 NAS도 집에서만 접속이 된다... ㅎㅎㅎㅎ NAS가 뭐의 약자인가?? Network 어쩌고 저쩌고 인데

tttae.tistory.com

참조하시라..

 

 

그러면 확인을 위해 휴대폰/스마트폰 와이파이 끄고 외부에서 접속하는 것처럼 접속 해 보시라..

 

https://호스트이름.synology.me:1001 

이런 식으로..

 

 

안전, 보안 뭐 그런걸로 딴지 걸면...

 

모두 전문가이니 일부 스킵

 

제어판-보안-인증서

 

로 가시라~

 

뭐가 있는지 모르지만,, 

 

없다면,  추가 클릭!

새인증서 추가 클릭!!

 

Let's  어쩌고저쩌고 선택,

 

기본인증서로 설정

 

다음!!

도메인 이름 : 호스트이름.synology.me

 

이메일 : 이메일 주소

 

완료!!!

 

하면 됨. 인증서는 지가 알아서 업데이트 된다고 함..

 

이젠 보안 어쩌고 저쩌고 안나올꺼임..

 

 

 

 

됐지요?

 

이제는 드디어 회사에서 NAS에 접속/딴짓이 가능하게 되었다~!!!!

 

 

근데 뭐할라고 이거 햇드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