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NAS의 초기 설정이다..
공유기 설치부터 너무너무 오래 걸렸다..
너무한 거 아닌가? 지금이 어떤 세상인데....ㅠㅠ
이제 켠다.....NAS!!!
켜기 전에....(또?)
NAS 코드 꼽아야 한다. 전기가 필요함.......
나는 처음에 안 켜져서 고민 많이 함.... 역시 코드를 꼽아야 함.
그리고, NAS 후면에 인터넷 선으로 공유기와 NAS를 연결해야 한다.
시놀로지 NAS 모델 별로, NAS 후면에 인터넷 구멍이 1개인 모델도 있고, 2개인 모델도 있는데,
한 개 꼽아도 되고,,, 공유기에 빈 port가 많다면 2개 꼽아도 된다.
(1개든 2개든 하나의 공유기에만 연결해야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아니라면 어쩔 수 없고...)
* 나의 공유기 설치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나의 메인 공유기는 8 port이다.
그래서 2개 꼽았다...
우하하하!!!
속도는 똑같다. 차이 없음..
(뭐 찾아보니,, 자동차 도로로 비유하면, 속도는 같은데, 차선이 2배가 되는 거라나? 머라나? 모름)
이제 켠다~!!!!!
NAS 켜고,
초기 연결 방법도 몇 가지 있겠지만 나는 모른다. 그냥 아래와 같이,,
인터넷 주소 창에 find.synology.com 쓰고 엔터!
뭐 이런 느낌의 창이 나온다.
누르는 게 하나밖에 없으므로 '설정' 클릭!!!
또 누르는게 하나밖에 없음... '지금 설치' 누름
내일 할 거 아니잖아!!!
이런 말이 나오는데,,, 어차피 HDD 새거라 상관없음. 클릭!!!
하면 이런 화면 나오면서 설치가 시작된다.
음...
뭔가 쉽다. 역시 다들 추천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역시...👍
드디어 뭔가를 쓴다...
서버 이름 : 말 그대로 서버 이름이다. 아무거나 써도 됨
사용자 이름 : 사용자 이름이다. 약간 ID 느낌?
패스워드 : 암호임...
다 쓰고 '다음'
그냥 자동 설치 (일정은 마음대로,,, 나는 일요일 오전 4시로 했음..)
주기적으로. S.M.A.R.T 어쩌고 저쩌고.. 해서 나쁠 거 있겠어? 체크!!!
다음!!!
(모델명은 신경 쓰지 마시고..)
시놀로지 계정이 있다면 아래 '기존 synology.... ID 생성 클릭하시면 됨.
처음이면 '새 synology..... ID 생성' 내용 기입함.
이메일 주소 : 이메일 주소 씀.
패스워드 : 패스워드 씀.
QuickConnect ID : 인터넷으로 외부에서 접속 시 필요한 ID
요놈이 아주 중요한 놈임. 외부에서 시놀로지 접속할 때 필요한 인터넷 주소 같은 놈임..
예를 들어 회사에서 나의 NAS에 접속하고 싶으면 (여러 방법이 있지만,,,)
QuickConnect ID를 이용하면 매우 쉬움.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음.
내가 만약 QuickConnect ID를 abcde라고 하였다면,
인터넷 주소 창에 이렇게 쓰면 됨.
https://abcde.quickconnect.to 라고 쓰면 NAS에 접속이 됨.
아주 좋음.
다음으로,,
무조건 다 설치...
나중에 안 쓰면 지우면 되지 뭐~
끝~
이제 이래저래 해볼까??
'NAS (Sy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놀로지 NAS에 홈페이지를 만들자 (WordPress 설치) - 1부 (1) | 2022.09.20 |
---|---|
(중간) 시놀로지 NAS 업그레이드 - RAM (1) | 2022.09.19 |
NAS 사용 중. (0) | 2022.09.19 |
NAS 의 시작... - 2부 (0) | 2022.09.06 |
NAS 의 시작... - 1부 (1) | 2022.08.17 |